역량강화활동 지원
지역 공동체를 기반으로 시민들이 창작의 주체로 참여하는 마당예술 활성화를 위해 마당예술 전문가(예술가)와 주민리더(마당지기)의 역량강화
활동을 지원합니다. 이를 통해 마당예술 전문가 공동체성을 함양과 참여를 통한 역량강화를 지원합니다.
마당예술강사 |
° 지역의 이슈나 문제, 역사 또는 사람들의 새롭고 창의적인 생각들을 문화예술에 접목시켜 주민들이 공연을 공동으로 창작하는 마당예술 교육을 담당하는 예술가입니다.
° 주민들은 마당예술강사와 함께 지역의 이슈가 담긴 고유의 창작물을 생산하고, 다양한 스토리를 축적하여 이웃과 공감 가능한 작품을 만들어 갑니다.
° 마당예술동아리들이 창작한 공연으로 마을 축제에 참여하거나 공연 봉사, 발표, 순회 등 지역에서 마당예술을 확산할 수 있도록 멘토링, 연출 등의 역할을 담당합니다.
|
마당예술강사 역량강화활동 지원 |
전문가
역량강화 특강
|
강사협의회
교육운영 회의
|
예술가·기획자
네트워크
|
사례 공유 및
외부자문 외
|
주민리더(마당지기) |
° 마당지기는 마당예술동아리 회원 중 주민리더(대표)로 활동하는 주민입니다. 일상 속에서 지역과 이웃을 알고 문화를 즐기는 동아리 활동을 위해 문화원-예술가-동아리 간의 연결고리가 되어 동아리가 잘 운영 될 수 있도록 이끔이 역할을 합니다.
° 마당예술동아리는 문화예술을 배우는 것에서 나아가 공동체와 이웃, 지역에 관심을 기본으로 생각합니다. 또한 문화예술을 즐기며 지역과 공동체의 이야기로 작품을 창작하는 주체로 성장하는데 그 의미가 있습니다.
° 주민리더는 마당예술동아리 회원들과 함께 더불어 지역의 공동체 문화예술을 활성화 시키는데 중추적 역할을 담당합니다.
|
주민리더 역량강화활동 지원 |
주민리더
역량강화 특강
|
주민리더
마당지기 네트워크
|
학산마당극놀래
사전 워크숍
|
활동 공유회 및
평가회의
|
-
2018년

-
- 주민리더 & 마당예술강사 특강
- 주민들과 함께, 지역을 알아가고, 삶과 예술을 엮어가다.
주말리더 특강
일정 |
내용제 |
강의 및 진행 |
06.25 |
마당예술워크숍 <나이스미추>
- 공동체예술의 의미와 가치
- 너, 나, 우리 동아리 알아가기
|
미추홀학산문화원 사무국장 박성희 극단 아토 |
08.27 |
마당예술워크숍 <미추홀이랑 살어리랏다>
- 함께 즐기는 축제, 나나니 타령
- 함께 즐기는 축제, 판그림 만들기
|
마당예술강사 김애영, 최승집 콜렉티브 커뮤니티 스튜디오 525 |
10.13 |
마당예술워크숍
- 뚝딱뚝딱 만드는 우리동네 미추홀
|
극단 아토 |
11.26 |
생활예술워크숍 <생활예술이 밥 먹여주나요?> |
윤현옥 aec 비빗펌 대표 김대근 마을, 예술, 복지 플랫폼 더창고 대표 |
- 창의성의 위치전환 연습 |
- 화합의 불만있쏭(song) 만들기 |
- 마당예술강사 특강
- 지역주민 공동체 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연구와 논의
주말리더 특강
일정 |
내용제 |
강의 및 진행 |
04.22~23 |
마당예술교육연구 워크숍
- 교육프로그램 발표 및 조별 장르융합 프로그램 개발
|
마당예술강사 관계자 |
지역문화와 마을공동체
- 경기 생태박물관을 중심으로
|
황순주 경기문화재단 지역문화팀장 |
12.14~15 |
미추홀 지역문화교육-문화로 우리지역 담아내기 |
이동준 이천문화원 사무국장 |
바느질과 인문학 |
김영옥 작가 |
마당예술강사 평가 워크숍
- 2018년 교육과정 평가와 제안
|
마당예술강사 관계자 |
-
2017년

-
- 마당예술 충전하기 & 나들이
- 학산마당극놀래의 가치와 마당예술의 의미를 나누고 주민의 삶을 예술로 엮어가다.
마당예술 충전하기
날짜 |
주제 |
강사 |
04.23 |
21세기 지역사회 문화코드 |
김보성(다음문화연구소 협동조합 이사장) |
마당극의 첫걸음-마당극의 오해와 편견 |
유인열(주안미디어문화축제 예술감독) |
공동체예술 혹은 커뮤니티아트로서의 마당극 |
남기성(학산마당극놀래 총감독) |
11.27 |
스토리텔링의 기본, 인천의 근현대사 특강 |
배성수(인천시립박물관 컴팩트시티부장) |
12.04 |
미추홀구의 근현대사 특강-미추홀구 너는 엇더한 도시 |
배성수(인천시립박물관 컴팩트시티부장) |
12.17 |
쌍방향 소통과 공감토론(마당예술강사 대상) |
김석수((주)공감마당 대표) |
12.17~18 |
마당예술 네트워크-교육운영 및 평가 |
마당예술강사 및 관계자 |
마당예술 연출론 교류 |
- 마당예술 나들이
- 나와 당신이 들려주는 마당예술 이야기!
마당예술 나들이
날짜 |
주제 |
강사 |
07.03 |
생활예술로 만드는 주체적 참여의 가치, 전래놀이 체험으로 즐겁게 소통하기 |
임승관(문화바람 대표),김선아(마당예술강사) |
08.22 |
마당예술 판그림 만들기 특강 및 판화체험 특강 |
윤종필,지휘석(꾸물꾸물문화학교) |
11.20 |
쌍방향 소통과 공감 |
김석수((주)공감마당 대표) |
11.20 |
스위스 직접 민주주의와 공감피드백 |
김철호((주)공감마당이사) |
11.27 |
무위의 공동체 우리가 되기 위한 연습(3차시) |
ACC 클리나멘 |
-
2016년

-
- 예술감감感監 & 생활예술 충전하기
- 예술강사와 함께 예술을 보고, 느끼다.
예술감감感監
날짜 |
주제 |
강사 |
07.10 |
사람, 공간, 이야기-공동체 예술과 나 |
정지은((사)연극놀이터 해마루 이사, 아트페다고지(용인) 대표) |
12.03 |
마당예술교육 평가 워크숍
- 마당예술의 의미와 역할
- 마당예술 공동창작 돌아보기 |
류이 (주안미디어문화축제 예술감독)
남기성 (학산마당극놀래 총감독) |
12.13 |
커뮤니티댄스, 움직임 표현과 워크숍 |
김윤규(댄스씨어터TIC 예술감독) |
12.19 |
공동창작 연극프로그램 개발 |
정지은((사)연극놀이터 해마루 이사, 아트페다고지(용인) 대표) |
- 생활예술 충전하기
- 1년 동안 활발한 문화활동을 담아온, 문화시민들, 문화예술에도 충전이 필요해요!
생활예술 충전하기
날짜 |
주제 |
강사 |
07.10 |
지역문화 활성화의 마중물, 마당예술의 회복 |
김보성(다음문화연구소 협동조합 이사장) |
12.02 |
마당, 예수루 속에 생활 버무리기 |
윤현옥 (aec 비빗펌 대표) |
민중문화의 탈, 탈에 숨겨진 이야기 |
권두현 (안동탈춤페스티벌 예술감독 ) |
즉흥연극 워크숍 진행 |
극단 목요일 오후 한시 |
12.09 |
인천시립무용단 무용극<하이얀 소년> 관람, 소감나누기 |
이재필 (인천시립무용단 단무장) |
-
2015년

-
- 역량강화 워크숍
- ‘마을 주민과 재미난 공동창작을 해볼까나’ 워크숍
생활예술 충전하기
날짜 |
주제 |
강사 |
01.27 |
생활인을 공동창작 연극만들기 |
김순희(서울대 교육철학과 박사과정) |
02.03 |
우리동네 신화 |
정승천(극단 자갈치 단원) |
청송, 오지에서 문화를 만들다 |
장소익(나무닭움직임 연구소 대표) |
면면촌촌 마을마당극 만들기 (화순군 도곡마을 사례) |
박강의(면면촌촌 마을마당극 만들기(화순군 도곡마을 사례) |
12.10 |
마당극놀이 창조체험-두레패 마당예술 길라잡이 |
류이(주안미디어문화축제 예술감독) |
-
2014년

-
- 학산마당극특강
- 전통문화예술 및 지역공동체 마을 만들기와 상호 연계 가능성에 대한 모색
생활예술 충전하기
날짜 |
주제 |
강사 |
01.07 |
마당극과 창작탈춤 |
채희완(부산대 예술문화영상학과 교수) |
01.14 |
마당극과 마당미술 |
김봉준(회화, 조각, 판화가) |
01.21 |
마당극과 창작판소리 |
임진택(연극연출가, 국악인) |
01.28 |
세계연극사로 본 마당극의 위상 |
김석만(연극연출가,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) |
02.11 |
마당극과 국제환경연극 |
장소익(나무닭움직임연구소 대표) |
02.18 |
마당극과 두레코 마을만들기 |
류이인렬(미디어교육연구소 이사장) |